본문 바로가기

재테크 일지24

삼성전자 진입 지금인가? (No) 2020-03-16 주변에서 가장 많이 듣는 이야기.... 삼성전자 지금 들어가려는데 어떻게 생각하냐.... 이 이야기는 2월 말부터 들어왔던 것 같다. ​ 물론 그때부터 현재까지 나의 대답은 No 이다. ​ 2월 말 나스닥이 -3%가 처음 떴을 때 이미 선 대응을 하였고, 추가적인 -3%가 떴을 때 위기가 다가 오고 있을 수 있겠다고 생각했다. ​ 이는 앞서 언급하였듯이 단순히 코로나 라는 전염병 악재 뿐이 아닌, 그동안 흔들리고 있던 여러가지 (셰일 기업 건 등)에 의한 것이라고 판단하였다. ​ 결국 3월달에 진입하여 연속적으로 -3%가 등장하였고, 경제 위기가 다가왔다고 직감하였다. ​ 물론 전고점대비 충분히 매력적으로 보일 수 있다. ​ 하지만 숫자만 보고 투자하는건 옳지 못하다. 이게 바닥일지 .. 2020. 3. 16.
미국, 제로금리로 가다 (우리나라 금리는? 환율은?) 2020-03-26 미 연준(FED)에서 1% 금리컷을 하며 사실상 제로 금리로 돌입했다. 제로금리로 가는 것에 대해 예측은 했지만, 예상보다 빠르게 대처했다고 보여진다. 또한 제로금리로 갔으니 양적완화까지 할 것으로 예측된다. ​ 그렇다면 우리나라의 시장은 어떻게 할까? 너무나 당연하지만 우리나라 금리는 미국을 따라갈 수 밖에 없다. ​ 가장 큰 이유는 외인의 자금이탈을 막기 위해서이다. 이미 엄청난 외인의 자금이 우리나라를 이탈하고 있고, 더이상의 이탈을 막기 위해 한은도 긴급 처방을 내놓을 것으로 예상된다. 아마 그 수치는 -0.5% 정도의 금리컷으로 예상된다. ​ 환율같은 경우, 이전에 말했듯이 제로금리와 양적완화로 인해 원달러 환율이 떨어져야 정상이지만, 경기침체로 인해 상승할 것으로 예상된다... 2020. 3. 16.
공황 판단 및 공황 대처 방법 (요약) 지난 시간에 다뤘던 공황에 대한 이야기에 대한 결론만 쉽게 요약해 보겠다. ​1. 나스닥이 -3%가 처음 뜨면 주식을 전량 매도하고 국채(TLT)를 사들여라 주식장에 위협이 느껴지면 상대적으로 안전자산인 채권으로 시장의 자금이 모여들기 마련이다. 혹여나 공황이 오지 않는다 하더라도 단기적으로 채권이 안전하고 수익률 면에서 유리하다. ​ ​ ​2. 나스닥이 -3% 네번 째 뜨는 날 TLT를 전량 매도한다. ​ 여기서 한달에 -3%가 네번 째 뜨는 날보다 연속적으로 -3%가 네번 째 뜨는 날이 더 안전하다고 생각한다. ​ TLT를 매도해야 하는 이유는 -3%가 네번 뜨게 되면 공황이라 판단할 수 있고, 이에 따라 국가의 개입이 일어나 국채의 가격이 하락하기 때문이다. 이 이야기는 나중에 따로 다뤄보도록 하겠.. 2020. 3. 13.
앞으로의 금리에 대하여... 2020-03-12 미 연준의 0.5% 빅컷 이후 예상대로 유럽 또한 0.5%의 빅컷을 단행했다. ​ 여기서 놀라운 점은 이제 유럽의 경우 0.75%에서 0.25%까지 빅컷을 했다는 점이다. 앞으로의 금리카드는 적용할 수 없고, 경기 불황이 장기화 될 경우 어떤식으로 대처를 할까? ​ 조만간 우리나라 또한 금리인하를 반드시 해야만 할 것이고 그 시점은 FOMC 전후가 되지 않을까 조심스레 예상해 본다. ​ 우리도 미국을 따라 0.5% 빅컷을 할 것으로 예상되지만, 코로나 수습의 정도에 따라 0.25%의 Baby Step 만을 단행할 수도 있겠다. ​ 또한 3월 17~18 열리는 FOMC에서 미 연준은 0.5%의 긴급 금리 인하에 이어 추가로 금리 인하를 할 가능성이 매우 높을 것으로 보인다. ​ 미 정부.. 2020. 3. 12.
공황판단 여부 및 대응 방법 2020-03-10 ​ 이 글은 공황인지 아닌지에 대한 정보 공유 및 나의 주관적인 견해이며 투자의 판단은 항상 본인의 몫임을 명심하자. ​ 최악의 악재 2가지 ​ 1) 코로나바이러스 이제 아시아 지역 뿐만이 아닌 유럽, 미국까지 전세계적으로 퍼져나가고 있으며 당분간은 지금보다 상황이 악화 될 것이라고 판단 된다. 현재 트럼프로 의심환자와 접촉하였고, 확정 판정시 미증시는 급락할 것으로 판단 된다. ​ ​ 2) 셰일기업의 위기 오늘자 기준 현재 유가는 20불 언저리, 셰일가스 기업들은 도산의 위기에 놓여져 있다. (최소 50불은 되어야 생산+유통 수지타산이 맞음) 미 연준이 긴급으로 0.5% 금리 인하한 것도 이 셰일기업의 도산을 막기 위한 이유가 크다는 견해이다. ​ 셰일가스 기업들이 망하지 않기 위해.. 2020. 3. 10.
배당주에 대한 나의 견해 2020-03-09 ​ ​ 거대 우량주 기준 10개의 배당주를 정리해보면 다음과 같다. 기업명 배당률 1. 다우 (DOW) 6.9% 2. 엑손 모빌 (XOM) 7.3% 3. 셰브런 (CVX) 5.4% 4. IBM (IBM) 5.0% 5. 화이자 (PFE) 4.3% 6. 버라이즌 (VZ) 4.3% 7. 월그린스부츠 (WBA) 3.6% 8. 3M (MMM) 3.8% 9. 시스코 (CSCO) 3.6% 10. 캐터필러 (CAT) 3.4% 해당 종목들은 모두 배당을 지속적으로 지급하였으며, 평균 5년간의 배당률보다 현재 배당률이 높은 종목들이다. ​ 지금부터 한 종목 씩 5년간의 가격변화를 살펴보도록 하겠다. ​ ​ ​ ​ ​ ​ ​ ​ 1. 다우 (DOW) 다우지수는 5년간 대체로 우상향을 기록하였고, 이는 시.. 2020. 3. 9.