금리5 5월달 한은의 추가 금리 인하? (feat. 내 집값은 어떻게 될까?) 2020-04-13 많은 전문가들이 5월달 한은이 추가적인 금리 인하를 할 것으로 예측하고 있다. 이번 4월달에는 한국은행이 금리를 동결하였고, 많은 전문가들 또한 동결 할 것으로 예측했었다. 이에 대한 이유로는 한은이 긴급임시회의를 소집해 0.5% 금리인하 (빅 컷) 을 하였기 때문이다. https://www.yna.co.kr/view/AKR20200409042200002?input=1195m 한은, 기준금리 동결…'빅컷'·'한국판 양적완화' 효과 지켜보자(종합) | 연합뉴스 그렇기 때문에 5월달에는 한은이 추가적인 금리인하를 할 것이라고 예측하는 것이다. 추가적으로 보통 우리나라는 미국과 0.5%정도의 금리차를 유지하려고 하는 특성이 있다. 또한 현재는 중력시장이기 때문에 정부의 조치 하나하나에 반응.. 2020. 4. 13. 현 상황 정리 (코로나 바이러스, 하이일드 스프레드, ISM 제조업 지수, 장단기 스프레드, 유가, 금리, 환율) 2020-04-01 요즘들어 내가 생각하고 있는게 맞는 것인지 의문을 가지게 되었다. 내가 생각하는 것이 맞다고 생각하고 있지만 수많은 외부 요소에 의해 하루에도 수십번씩 흔들린다. 이에 따라 현 상황을 살펴보고 다시 한번 크로스체크 해보는 시간을 가져보려한다. 1. 코로나 바이러스 코로나 바이러스의 경우 우리나라나 중국의 경우 확산세가 둔화된 반면 미국, 유럽의 경우 확산세가 증가하고 있는 추세기 때문에 악재 해소가 되지 않았음 2. 하이일드 스프레드 2020-03-23 10.87 고점 2020-03-27 8.99 로 감소 중 하지만 여전히 높은 수치이며 지속적인 추적 관찰 요 무제한 양적완화로 레포시장에 유동성 공급한 영향이라 판단됨 하이일드 스프레드 관련 포스팅 https://blog.naver.c.. 2020. 4. 1. 그린스펀의 수수께끼 2020-03-23 그린스펀의 수수께끼 그린스펀의 수수께끼란 미 연준이 기준금리를 아무리 올려도 시장금리(특히 장기 채권 금리)가 따라서 오르지 않는 현상을 말한다. 2005년 2월, 그린스펀 당시 미 연준의장이 미 상원에 제출한 통화보고서에서 "세계 채권시장에서 지금 예기치 못한 움직임이 일어나고 있는데, 이런 움직임은 수수께끼와 같다"고 언급한데서 비롯했다. 그렇다면 이런 현상은 왜 일어났을까? 물가가 상승하고, 자산가치가 상승함에 따라 미 연준은 기준금리를 향상시켜 시장 금리를 올려 자산가치 상승을 억제시키려고 했다. 하지만 이상하게 기준금리를 아무리 올려도 시장금리는 올라가지 않았다. 그 이유는 바로 중국의 성장에 있었다. 2000년대는 중국이 G2로써 자리 매김하는 시기.. 2020. 3. 23. 미국, 제로금리로 가다 (우리나라 금리는? 환율은?) 2020-03-26 미 연준(FED)에서 1% 금리컷을 하며 사실상 제로 금리로 돌입했다. 제로금리로 가는 것에 대해 예측은 했지만, 예상보다 빠르게 대처했다고 보여진다. 또한 제로금리로 갔으니 양적완화까지 할 것으로 예측된다. 그렇다면 우리나라의 시장은 어떻게 할까? 너무나 당연하지만 우리나라 금리는 미국을 따라갈 수 밖에 없다. 가장 큰 이유는 외인의 자금이탈을 막기 위해서이다. 이미 엄청난 외인의 자금이 우리나라를 이탈하고 있고, 더이상의 이탈을 막기 위해 한은도 긴급 처방을 내놓을 것으로 예상된다. 아마 그 수치는 -0.5% 정도의 금리컷으로 예상된다. 환율같은 경우, 이전에 말했듯이 제로금리와 양적완화로 인해 원달러 환율이 떨어져야 정상이지만, 경기침체로 인해 상승할 것으로 예상된다... 2020. 3. 16. 앞으로의 금리에 대하여... 2020-03-12 미 연준의 0.5% 빅컷 이후 예상대로 유럽 또한 0.5%의 빅컷을 단행했다. 여기서 놀라운 점은 이제 유럽의 경우 0.75%에서 0.25%까지 빅컷을 했다는 점이다. 앞으로의 금리카드는 적용할 수 없고, 경기 불황이 장기화 될 경우 어떤식으로 대처를 할까? 조만간 우리나라 또한 금리인하를 반드시 해야만 할 것이고 그 시점은 FOMC 전후가 되지 않을까 조심스레 예상해 본다. 우리도 미국을 따라 0.5% 빅컷을 할 것으로 예상되지만, 코로나 수습의 정도에 따라 0.25%의 Baby Step 만을 단행할 수도 있겠다. 또한 3월 17~18 열리는 FOMC에서 미 연준은 0.5%의 긴급 금리 인하에 이어 추가로 금리 인하를 할 가능성이 매우 높을 것으로 보인다. 미 정부.. 2020. 3. 12. 이전 1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