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식/공부방28 경제 공황에 투자해야 하는 회사 Top5 (Feat. 레이 달리오) 2020-03-17 어려울 땐 역시 1등 기업 투자지 ? 경제 공황에는 어떤 회사에 투자해야 할까? 역시나 1등 기업에 투자하면 되는 것일까? 나는 개인적으로 1등 기업에 투자하는 것은 최소한 망하지 않는다고 생각하고 있다. 물론 경제 공황이 지나간 이후에도 가장 많은 상승을 할 것이라고 믿어 의심치 않는다. 하지만 레이달리오는 "이것"에 집중해야 한다고 한다. 레이달리오의 제안 레이달리오가 강조한 주목해야할 부분은 바로 "현금을 많이 보유한 기업에 주목하라" 최근 레이달리오는 SNS를 통해 COVID-19 사태로 인한 현 금융 상태에 대한 자신의 생각을 피력했다. 그의 이야기는 다음과 같다. - COVID-19 로 인한 기업의 단기적인 충격은 불가피하다. - 하지만 이 사태.. 2020. 3. 17. TLT에 대하여 TLT란 무엇인가? TLT라 함은 20년물 미국채 ETF를 일컫는다. 대부분의 많은 사람들은 국채와 주식은 서로 반대되는 성향을 가졌기 때문에 어느정도 섞어서 포트폴리오를 작성해 리스크를 줄여야한다고 알고 있다. 물론 이것은 맞는 말이다. 하지만 항상 채권과 주식이 반대방향으로 움직이는 것은 아니다. 특히나 공황이 장기화 될 경우 TLT는 주식과 마찬가지로 하향곡선을 그리게 된다. 공황 초기에 왜 TLT를 사야할까? 공황 초기에 주가가 하락하면서 시장 참여자들은 상대적으로 안전 자산이라 여기는 채권으로 그들의 유동자금을 움직이게 된다. 채권시장으로 단기적인 유동성 자금이 흘러들어오며 채권 가격은 상승하게 되고 상대적으로 유동성 자금이 빠져나간 주식시장은 하락하게 된다. TLT는.. 2020. 3. 13. 장단기 스프레드 역전 발생 이유 (Feat. 장단기 금리차 역전) 채권의 종류 국채는 크게 단기, 중기, 장기 채권 으로 나눌수 있다. 대표적인 미국채 ETF는 다음과 같다. 1. IShares 20+ Year Treasury Bond (TLT) - 미 20년 장기 국채 ETF 2. IShares 1-3 Year Treasury Bond (SHY) - 미 1-3 단기 국채 ETF 3. IShares 7-10 Year Treasury Bond (IEF) - 미 7-10 중장기 국채 ETF 채권의 경우 만기시 이자를 받는 일종의 적금과 같다고 볼 수 있다. 다만 내가 넣어놓은 원금이 변화하는 적금이라고 볼 수 있겠다. TLT 이자율 > SHY 이자율 채권의 경우 장기 채권인 TLT가 단기 채권인 SHY 보다 이자율이 높다. 이유는 다음과 같다. 첫.. 2020. 3. 13. 데드캣 바운스 데드캣 바운스란? Dead Cat Bounce 죽은 고양이를 땅에 떨어트리면 튀어오른다는 뜻이다. 주식 시장에서 급락 후에 급반등이 찾아온다는 뜻으로 사용된다. 이는 이전에 정리한 공황에 대한 글에서 기록하였듯이 주식시장의 급격한 하락 이후 급반등이 일어날 수 있으니, 주식을 처분하지 못한 사람들에게는 기회의 시간이라고 볼 수 있겠다. 이번 코로나사태와 유가폭락으로 인한 경기침체로 빗대어 보면 다음과 같다 2020.02.19 (+0.87%) 2020.02.20 (-0.67%) 2020.02.21 (-1.79%) 2020.02.24 (-3.71%) 2020.02.25 (-2.77%) 2020.02.26 (+0.17%) 2020.02.27 (-4.61%) 2020.02.28 (+0.01%).. 2020. 3. 12. 레포(REPO) 시장에 대하여 레포거래란? Repurchase agreement transaction 자본시장에 대상이 되는 대상물 (증권이나 채권)을 매도(매수)함과 동시에 사전에 정한 기일에 증권을 환매수(환매도)하는 매매거래 방법으로 "환매 조건부 매매거래" 라고 말한다. 한마디로 정리해보면 레포시장이란 거대한 '전당포'라고 생각해보자. 시장 참여자는 긴급하게 현금이 필요할 때 자신의 담보(채권이나 주식)를 맡기고 현금을 단기간 빌려간다고 생각하면 된다. 즉, 채권이나 주식을 매도하여 단기간 현금을 융통하고 이자를 더한 가격에 채권이나 주식을 환매수 하는 개념이다. 레포시장은 왜 존재하는가? 레포시장이 존재하는 이유는 시중은행들간에 신용만으로 빌릴 수 있는 call 시장에 참여하지 못하는 시장 참여자에게 단기.. 2020. 3. 11. 달러의 회귀본능 달러는 1120원 ~ 1130원으로 회귀하는 본능이 있다. 이는 역대 환율을 평균 내었을 때 나오는 수치이다. 결론) 달러의 평균가격 = 1120 ~ 1130원 이 가격보다 쌀 때 달러를 매집 , 비쌀 때 환차익을 보며 매도 이 가격보다 쌀 때 달러를 매집 , 우량주식 폭락시 매입 이 가격보다 쌀 대 달러를 매집하면 환 쿠션의 역할을 할 수 있다. 2020. 3. 8. 이전 1 2 3 4 5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