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주식9

주식 양도소득 비과세 5000만원 확대 2020-07-22 ​ 정부가 22일 발표했던 주식 양도소득세 비과세를 2000만원에서 5000만원으로 늘렸어요. ​ 그래서 결과적으로 2023년부터 국내 주식 투자로 연 5000만원 이상의 소득을 올리면 20%의 양도소득세를 내게 됩니다. 연 3억원을 초과하면 25%의 양도소득세가 부과됩니다. ​ 코로나 사태로 인하여 유동성이 풍부해진 점, 그로 인해 개인의 주식투자 금액이 폭발적으로 증가한 점, 그 중에서도 특히 20-30 대 젊은 층의 관심이 높아진 점 ​ 종합해봤을때 국가에서 더 많은 세수를 걷으려고 하는 것으로 밖에 느껴지지 않네요. ​ ​ 미국의 주식 양도세를 따라 간다고 하는 거겠지만, 미국은 대신 부동산 세금이 절대적으로 적죠. ​ 다행히(?)도 2023년 부터 적용이니 지레 겁 먹을 필요.. 2020. 7. 24.
4차 달러 매입 및 종목 매수 2020-06-08 ​ 4차 달러 추가 매입했습니다. 환율 1203.17 ​ 잔금이 없는 이유는 종목을 다 매수 했기 때문! 그동안 회사 업무로 너무 바빠 글을 올리지 못했지만 몇개의 사고 싶던 종목을 사놓은 상태에요 ​ 종목은 꾸준히 분할매수로 매입했어요! 현재의 보유 종목은 Apple, MS, 스타벅스, 알파벳, 페이스북, DGRO, AT&T 이렇게 가지구 있어요. ​ 앞으로도 꾸준히 모아 나갈 생각이에요! 한국 주식은 삼성전자 우선주와 이크레더블을 모으고 있어요! 한국 주식의 경우 하루에 한주씩 사서 모으고 있답니다. ​ 요즘 상승장이라 모두 빨간 불이지만 언제 파란불이 뜰지는 모르는 일이죠! 그래서 저는 꾸준히 모아가는 방식을 택했어요! 제 매입기록은 단지 기록용일 뿐이니 참고용으로만 하시면 좋겠.. 2020. 6. 10.
코로나 사태에 대한 나의 생각 (주식, 부동산) 2020-04-10 코로나 바이러스로 인한 경기침체는 불가피해 보이는 것이 사실이다. 하지만 요즘 증시를 보면 이해할 수 없는 현상들이 비일비재하다. 눈 앞의 악재에도 증시가 상승한다? 사실상 납득하기 어렵다. 전 세계적으로 국가의 유동성 자금 뿐만이 아닌, 개인의 유동성 자금이 총 투입되어 증시를 끌어올리고 있다. 항상 말했듯이 모든 개인을 태우고 증시는 상승할 수 없다고 생각한다. 하지만, 요즘 시국을 보면 정말 동학개미운동의 성공인가? 하는 생각도 든다. 큰 그림으로 봤을 때, 코로나 바이러스 백신이 등장하지 않는 이상 사람들의 외출은 계속 제한될 것이고 그에 따라 소비 또한 제한 될 것이다. 그 시기가 길어질수록 사람들은 점점 체감하게 될 것이다. 사실상 개인이 계속 투자금을 넣는 이유도 여기에 .. 2020. 4. 10.
공황 판단 및 공황 대처 방법 (요약) 지난 시간에 다뤘던 공황에 대한 이야기에 대한 결론만 쉽게 요약해 보겠다. ​1. 나스닥이 -3%가 처음 뜨면 주식을 전량 매도하고 국채(TLT)를 사들여라 주식장에 위협이 느껴지면 상대적으로 안전자산인 채권으로 시장의 자금이 모여들기 마련이다. 혹여나 공황이 오지 않는다 하더라도 단기적으로 채권이 안전하고 수익률 면에서 유리하다. ​ ​ ​2. 나스닥이 -3% 네번 째 뜨는 날 TLT를 전량 매도한다. ​ 여기서 한달에 -3%가 네번 째 뜨는 날보다 연속적으로 -3%가 네번 째 뜨는 날이 더 안전하다고 생각한다. ​ TLT를 매도해야 하는 이유는 -3%가 네번 뜨게 되면 공황이라 판단할 수 있고, 이에 따라 국가의 개입이 일어나 국채의 가격이 하락하기 때문이다. 이 이야기는 나중에 따로 다뤄보도록 하겠.. 2020. 3. 13.
데드캣 바운스 데드캣 바운스란? ​ Dead Cat Bounce 죽은 고양이를 땅에 떨어트리면 튀어오른다는 뜻이다. 주식 시장에서 급락 후에 급반등이 찾아온다는 뜻으로 사용된다. ​ 이는 이전에 정리한 공황에 대한 글에서 기록하였듯이 주식시장의 급격한 하락 이후 급반등이 일어날 수 있으니, 주식을 처분하지 못한 사람들에게는 기회의 시간이라고 볼 수 있겠다. ​ ​ 이번 코로나사태와 유가폭락으로 인한 경기침체로 빗대어 보면 다음과 같다 ​ 2020.02.19 (+0.87%) 2020.02.20 (-0.67%) 2020.02.21 (-1.79%) 2020.02.24 (-3.71%) 2020.02.25 (-2.77%) 2020.02.26 (+0.17%) 2020.02.27 (-4.61%) 2020.02.28 (+0.01%).. 2020. 3. 12.
공황판단 여부 및 대응 방법 2020-03-10 ​ 이 글은 공황인지 아닌지에 대한 정보 공유 및 나의 주관적인 견해이며 투자의 판단은 항상 본인의 몫임을 명심하자. ​ 최악의 악재 2가지 ​ 1) 코로나바이러스 이제 아시아 지역 뿐만이 아닌 유럽, 미국까지 전세계적으로 퍼져나가고 있으며 당분간은 지금보다 상황이 악화 될 것이라고 판단 된다. 현재 트럼프로 의심환자와 접촉하였고, 확정 판정시 미증시는 급락할 것으로 판단 된다. ​ ​ 2) 셰일기업의 위기 오늘자 기준 현재 유가는 20불 언저리, 셰일가스 기업들은 도산의 위기에 놓여져 있다. (최소 50불은 되어야 생산+유통 수지타산이 맞음) 미 연준이 긴급으로 0.5% 금리 인하한 것도 이 셰일기업의 도산을 막기 위한 이유가 크다는 견해이다. ​ 셰일가스 기업들이 망하지 않기 위해.. 2020. 3. 1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