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식9 주식 양도소득 비과세 5000만원 확대 2020-07-22 정부가 22일 발표했던 주식 양도소득세 비과세를 2000만원에서 5000만원으로 늘렸어요. 그래서 결과적으로 2023년부터 국내 주식 투자로 연 5000만원 이상의 소득을 올리면 20%의 양도소득세를 내게 됩니다. 연 3억원을 초과하면 25%의 양도소득세가 부과됩니다. 코로나 사태로 인하여 유동성이 풍부해진 점, 그로 인해 개인의 주식투자 금액이 폭발적으로 증가한 점, 그 중에서도 특히 20-30 대 젊은 층의 관심이 높아진 점 종합해봤을때 국가에서 더 많은 세수를 걷으려고 하는 것으로 밖에 느껴지지 않네요. 미국의 주식 양도세를 따라 간다고 하는 거겠지만, 미국은 대신 부동산 세금이 절대적으로 적죠. 다행히(?)도 2023년 부터 적용이니 지레 겁 먹을 필요.. 2020. 7. 24. 4차 달러 매입 및 종목 매수 2020-06-08 4차 달러 추가 매입했습니다. 환율 1203.17 잔금이 없는 이유는 종목을 다 매수 했기 때문! 그동안 회사 업무로 너무 바빠 글을 올리지 못했지만 몇개의 사고 싶던 종목을 사놓은 상태에요 종목은 꾸준히 분할매수로 매입했어요! 현재의 보유 종목은 Apple, MS, 스타벅스, 알파벳, 페이스북, DGRO, AT&T 이렇게 가지구 있어요. 앞으로도 꾸준히 모아 나갈 생각이에요! 한국 주식은 삼성전자 우선주와 이크레더블을 모으고 있어요! 한국 주식의 경우 하루에 한주씩 사서 모으고 있답니다. 요즘 상승장이라 모두 빨간 불이지만 언제 파란불이 뜰지는 모르는 일이죠! 그래서 저는 꾸준히 모아가는 방식을 택했어요! 제 매입기록은 단지 기록용일 뿐이니 참고용으로만 하시면 좋겠.. 2020. 6. 10. 코로나 사태에 대한 나의 생각 (주식, 부동산) 2020-04-10 코로나 바이러스로 인한 경기침체는 불가피해 보이는 것이 사실이다. 하지만 요즘 증시를 보면 이해할 수 없는 현상들이 비일비재하다. 눈 앞의 악재에도 증시가 상승한다? 사실상 납득하기 어렵다. 전 세계적으로 국가의 유동성 자금 뿐만이 아닌, 개인의 유동성 자금이 총 투입되어 증시를 끌어올리고 있다. 항상 말했듯이 모든 개인을 태우고 증시는 상승할 수 없다고 생각한다. 하지만, 요즘 시국을 보면 정말 동학개미운동의 성공인가? 하는 생각도 든다. 큰 그림으로 봤을 때, 코로나 바이러스 백신이 등장하지 않는 이상 사람들의 외출은 계속 제한될 것이고 그에 따라 소비 또한 제한 될 것이다. 그 시기가 길어질수록 사람들은 점점 체감하게 될 것이다. 사실상 개인이 계속 투자금을 넣는 이유도 여기에 .. 2020. 4. 10. 공황 판단 및 공황 대처 방법 (요약) 지난 시간에 다뤘던 공황에 대한 이야기에 대한 결론만 쉽게 요약해 보겠다. 1. 나스닥이 -3%가 처음 뜨면 주식을 전량 매도하고 국채(TLT)를 사들여라 주식장에 위협이 느껴지면 상대적으로 안전자산인 채권으로 시장의 자금이 모여들기 마련이다. 혹여나 공황이 오지 않는다 하더라도 단기적으로 채권이 안전하고 수익률 면에서 유리하다. 2. 나스닥이 -3% 네번 째 뜨는 날 TLT를 전량 매도한다. 여기서 한달에 -3%가 네번 째 뜨는 날보다 연속적으로 -3%가 네번 째 뜨는 날이 더 안전하다고 생각한다. TLT를 매도해야 하는 이유는 -3%가 네번 뜨게 되면 공황이라 판단할 수 있고, 이에 따라 국가의 개입이 일어나 국채의 가격이 하락하기 때문이다. 이 이야기는 나중에 따로 다뤄보도록 하겠.. 2020. 3. 13. 데드캣 바운스 데드캣 바운스란? Dead Cat Bounce 죽은 고양이를 땅에 떨어트리면 튀어오른다는 뜻이다. 주식 시장에서 급락 후에 급반등이 찾아온다는 뜻으로 사용된다. 이는 이전에 정리한 공황에 대한 글에서 기록하였듯이 주식시장의 급격한 하락 이후 급반등이 일어날 수 있으니, 주식을 처분하지 못한 사람들에게는 기회의 시간이라고 볼 수 있겠다. 이번 코로나사태와 유가폭락으로 인한 경기침체로 빗대어 보면 다음과 같다 2020.02.19 (+0.87%) 2020.02.20 (-0.67%) 2020.02.21 (-1.79%) 2020.02.24 (-3.71%) 2020.02.25 (-2.77%) 2020.02.26 (+0.17%) 2020.02.27 (-4.61%) 2020.02.28 (+0.01%).. 2020. 3. 12. 공황판단 여부 및 대응 방법 2020-03-10 이 글은 공황인지 아닌지에 대한 정보 공유 및 나의 주관적인 견해이며 투자의 판단은 항상 본인의 몫임을 명심하자. 최악의 악재 2가지 1) 코로나바이러스 이제 아시아 지역 뿐만이 아닌 유럽, 미국까지 전세계적으로 퍼져나가고 있으며 당분간은 지금보다 상황이 악화 될 것이라고 판단 된다. 현재 트럼프로 의심환자와 접촉하였고, 확정 판정시 미증시는 급락할 것으로 판단 된다. 2) 셰일기업의 위기 오늘자 기준 현재 유가는 20불 언저리, 셰일가스 기업들은 도산의 위기에 놓여져 있다. (최소 50불은 되어야 생산+유통 수지타산이 맞음) 미 연준이 긴급으로 0.5% 금리 인하한 것도 이 셰일기업의 도산을 막기 위한 이유가 크다는 견해이다. 셰일가스 기업들이 망하지 않기 위해.. 2020. 3. 10. 이전 1 2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