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양적완화7

현재 우리나라 외환 보유고 2020-04-09 지난 시간에 이어 우리나라 외환보유고에 대해 알아보려한다. 또한 이를 통해 우리나라는 양적완화를 얼마나 할 수 있을지 알아보자! 외환보유액 정의 외환보유액 이란 교환성이 있고 유동성과 시장성이 높은 자산으로 통화당국인 중앙은행과 정부가 언제든지 사용할 수 있는 대외 외화 금융자산을 의미한다. 즉, 한 국가의 대외 지불능력 을 의미한다. 외환보유액이 너무 적을 경우 대외 채무를 갚지 못하는 모라토리움(Moratorium) 상태에 빠질 수 있다. 그렇다면 현재 우리나의 외환보유액 상태는 어떨까? 외환보유액 상태 2020년 2월말 기준으로 우리나라 외환보유액은 4092억 달러로, 규모면에서 중국, 일본, 스위스, 러시아, 사우디아라비아, 대만, 인도, 홍콩에 이어 세계 9위 수준이다. 외환.. 2020. 4. 9.
독일의 하이퍼 인플레이션은 왜 일어났을까? 2020-04-06 최근 전세계적으로 양적완화의 붐이 일어나면서 너도 나도 돈을 찍어내는 시기가 찾아왔다. 돈을 마구마구 찍어내면 상식적으로 화폐의 가치가 하락하여 인플레이션이 발생할 수 밖에 없다. 하지만 기축통화의 경우 강력한 수요가 자리 잡아 화폐를 찍어내는 것이 가능하다. 그렇다면 과거 세계1차대전 이후 독일의 하이퍼 인플레이션 사태를 통해 돈을 무작정 찍어내면 어떻게 하이퍼 인플레이션이 발생하는지 살펴보자. 독일의 하이퍼 인플레이션 1차 세계대전 당시 세계는 금본위제를 사용하고 있었다. 금본위제란 금을 기준으로 화폐의 가치를 정하는 제도를 의미한다. 미국 닉슨 대통령 시절 금본위제 포기 후 페트로 달러 시스템 도입하게 된다. (관련 내용은 하단 링크 참조) https://blog.naver.co.. 2020. 4. 6.
미국의 과거 주요 양적완화 조치 2020-03-29 미국에서 무제한 양적완화를 발표함에 따라 과거 미국에서 했던 양적완화에 대해 알아보자 1차 양적완화 2009년 3월 ~ 2010년 3월 국채와 모기지 채권 매입 1조 7500억 달러 2차 양적완화 2010년 11월 ~ 2011년 6월 국채 매입 6000억 달러 오퍼레이션 트위스트 2011년 9월 ~ 2012년 12월 장기 국채 매입, 3년 미만 단기 국채 매각 6670억 달러 3차 양적완화 2012년 9월 ~ 2013년 말 국채와 모기지 채권 매입 1조 2800억 달러 양적완화 축소 2014년 1월 ~ 국채 및 모기지 채권 매입 규모 월 850억 달러에서 750억 달러로 월 100억 달러 축소 현재 2020년 3월 ~ 국채 매입, MBS 매입 7000억 달러 예정 2020. 3. 29.
달러를 마구 찍어내도 될까? (feat. 양적완화, 트리핀의 딜레마, 페트로 달러 시스템, 세뇨리지효과) 2020-03-29 오늘의 주제는 요즘 핫한 양적완화에 대해 다뤄보려고 한다. 제롬 파월 미 연준의장은 무제한 양적완화와 더불어 미국 회사채 매입까지 하겠다고 선포를 하였다. 이는 기존 언급하였던 제로금리, 양적완화, 회사채 매입 이라는 모든 부양책을 사용했다고 봐도 무방하다. 만약 이러한 부양책에도 증시가 반등을 하지 못한다면 경기침체가 장기화 될 수 있을 것이다. 달러를 마구 찍는 것은 가능할까? 정답은 가능하다 입니다. 과거 미국 유럽등 대부분의 국가들은 금본위제를 채택하였다. 금본위제란 금을 기준으로 달러의 가치를 연동시키는 제도이다. 따라서 금의 일정량의 가치로 화폐의 가치를 매겨왔다. 하지만 닉슨 대통령 시절 베트남 전으로 인한 부채를 갚지 못해 금본위제를 폐지한다. 이는 사실상 달러와 금 연.. 2020. 3. 29.
우리나라도 무제한 양적완화? 효과는? (feat. 한국은행) 2020-03-28 한은(한국은행)은 앞으로 3달간 금융사에 유동성 무제한 공급을 하여 RP 수요를 전액 매입하겠다고 발표했다. 이는 미 연준의 무제한 양적완화에 영향을 받은 것으로 보여지나 과연 이를 양적완화라고 표현할 수 있을지 모르겠다. 왜냐하면 미국의 양적완화 같은 경우 미 연준에서 MBS 혹은 국채를 매입하거나 BOJ처럼 ETF를 매입해 직접 자금을 투입하는데 반하여 우리나라 한은의 경우 RP 무제한 매입하는 방식이기 때문이다. *MBS ( Mortgage Backed Securities ) : 주택 저당 증권 - ABS의 일종으로 주택,토지를 담보물로 발행되는 채권 *ABS ( Asset Backed Securities ) : 자산유동화 증권 - 부동산, 유가증권, 주택저당채권 등 유동화자산을.. 2020. 3. 28.
제로금리, 양적완화, 회사채 매입.... 다음 대안은? 2020-03-20 ​ 기존에 내가 제시했던 방안이 3가지 있었다. ​ 첫번째, 제로금리로 가야한다. 두번째, 양적완화를 해야한다. 세번째, 국가에서 회사채 매입을 하도록 법안 개정해야한다. ​ ​ 결국 미국은 이 세가지 카드를 모두 사용하였다. 어느정도 예측이 가능했지만, 역시 미국은 빠르게 선제 대응을 하였다. ​ 그럼에도 불구하고 세계경제는 아직도 미궁속으로 빠져들고 있다. ​ 과연 세계의 중심 미국의 다음 카드는 무엇일까? 2020. 3. 2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