TLT란 무엇인가?
TLT라 함은 20년물 미국채 ETF를 일컫는다.
대부분의 많은 사람들은 국채와 주식은 서로 반대되는 성향을 가졌기 때문에 어느정도 섞어서 포트폴리오를 작성해 리스크를 줄여야한다고 알고 있다.
물론 이것은 맞는 말이다. 하지만 항상 채권과 주식이 반대방향으로 움직이는 것은 아니다. 특히나 공황이 장기화 될 경우 TLT는 주식과 마찬가지로 하향곡선을 그리게 된다.
공황 초기에 왜 TLT를 사야할까?
공황 초기에 주가가 하락하면서 시장 참여자들은 상대적으로 안전 자산이라 여기는 채권으로 그들의 유동자금을 움직이게 된다.
채권시장으로 단기적인 유동성 자금이 흘러들어오며 채권 가격은 상승하게 되고 상대적으로 유동성 자금이 빠져나간 주식시장은 하락하게 된다.
TLT는 왜 공황이 확정되면 팔아야할까?
주식시장의 불안감으로 인하여 채권의 가격은 점점 상승하게 되고 이에 따른 주식가격은 점점 하락을 하게 된다. 하지만, 시장의 불안이 점점 확정이 되어가면서 채권 또한 가격이 하락 하기 때문에 TLT는 초기에 사서 공황이 확정되거나 그 이전에 매도해야 한다.
TLT가 하락하는 원인은 무엇인가?
첫번 째 이유로는 양적완화(QE)를 들 수 있다.
TLT가격이 상승하다 일정 수준을 넘어서게 되면 미 연준은 채권을 시장에 판매함으로써 TLT가격을 하락시킨다. 이는 기축통화인 달러를 찍어낼 수 있는 미국이기에 가능하다고 할 수 있다.
두번 째 이유로는 수익실현 때문이다.
TLT가격이 상승하면서 이미 너무 많이 가격이 오른경우 이를 매수한 세력이 수익 실현을 하기 때문에 하락하게 된다.
결론)
나스닥이 -3% 처음 뜨면 주식을 전량 매도하고 TLT를 매수 한다.
그 후 -3%가 네번 뜨면 TLT를 전량 매도한다.
댓글